320x100
러시아어는 러시아 뿐만 아니라
주변 지역, 영향을 미친 문화권에 속하는 국가에서 널리 사용됨
∵ 소비에트 연방에 속했던 과거, 정치제도 때문
아직도 옛 소련 공화국 중 일부 국가에서
러시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음.
ex) 독립국가연합, 중앙아시아
소련의 언어 정책이자
CIS 지역 내 협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고
민족 간 소통 수단으로 사용되어왔음.
동슬라브 민족
: 러시아-벨라루스-우크라이나
- 동일한 동슬라브 문화권의 국가가 대표적
- 상당히 유사하고 비슷한 말이 많음
- 서로 어느 정도 이해 가능
서슬라브 민족
: 폴란드-체코-슬로바키아
남슬라브 민족
: 세르비아-크로아티아
중앙아시아
: 카자흐스탄, 키르키스탄, 타즈키스탄, 튀르크메니스탄, 우즈베키스탄
- 소비에트 연방의 공화국이었고
- 현재는 독립 국가
- 별도의 민족 언어가 있으나
- 공식회의는 러시아어로 이루어짐
- 많은 사람들이 러시아어를 배움
코카서스 지역
: 아제르바이잔, 조지아, 아르메니아
정치적 상황이 각 국가마다 다르며
사용 비율 또한 상이함.
소비에트연방 붕괴 이후,
아래의 국가에서 러시아어 구사 가능 인구의 비율이 ↑
- 친러 정책을 유지한 국가
- 지리적으로 가까운 국가
- 문화적 동질성이 있는 국가
한국에서의 러시아, 러시아어
- 생각보다 가까운 관계.
- 러시아와 역사적인 관계가 있으며 (ex. 아관파천)
- 문학, 음악에서 생각보다 많은 영향을 받음
(ex. 도스토예프스키, 톨스토이, 차이코프스키, 발레문화 등) - 국내 거주 외국인 중
러시아어 사용자는 꽤 많음. 5% 정도.- 상트페테르부르크 광장(인천 연안부두), 동대문 중앙아시아 거리, 안산 등
- 우즈베키스탄, 러시아(연방), 카자흐스탄이
국내 거주 외국인 인구수 순위 12위 내에 있음.
320x100
'러시아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러시아어 기본 회화 - 기본 인사 표현 (0) | 2022.08.30 |
---|
댓글